-
코로나?오미크론? 이젠 ㅇㅇㅇ오미크론?건강정보 2022. 4. 16. 12:36
스텔스오미크론 코로나 오미크론으로 장기간으로 많은 국민들이 힘들어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많은 분들이 백신 접종을 하였지만 오미크론 바이러스를 방어하지 못하고 수십만 명이 오미크론에 감염되었습니다.
간단한 감기 증상으로 사망률은 코로나보다 낮지만 완치 후 후유증으로 인해 고통받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여기에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강한 스텔스오미크론 또한 주의 있게 봐야 합니다.
전파력이 강한 스텔스오미크론이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스텔스오미크론이란?
스텔스오미크론은 오미크론의 PCR 검사에 다른 변이가 구분이 잘 안되어 지어진 이름입니다.
지금은 대부분 PCR 검사법으로 변이 검출이 가능 합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작년 11월에 등장했는데요.
기존 오미크론의 아래 단계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스텔스오미크론은 사진과 같이 BA.2로 표기되는데요.
오미크론은 BA.1으로 표기됩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강하지만 위험도는 큰 차이가 없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스텔스오미크론은 기존 오미크론과 크게 다른 점은 없습니다.
기존 오미크론보다 폐로 침투하는 확률이 낮아 감기 몸살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데요.
침을 삼킬 때 목통증과 발열, 구토, 속 쓰림, 복통, 피로감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치명률
스텔스오미크론은 오미크론보다 감염률은 높으나 감염 후 심각한 증상은 낮은 걸로 나왔습니다.
감염률 또한 기존 오미크론에 걸렸던 사람이 스텔스 오미크론에 감염될 확률은 매우 낮다고 합니다.
하지만 감염 이후 시간 지나면 재 감염 가능성이 있어 주의하셔야 합니다.
어린이 경우 스텔스오미크론에 치명률이 더 높다는 연구 갈과가 나왔는데요.
특히 어린이 경우 백신 미접 종이 많아 주의해 주기 바랍니다.
이상 스텔스오미크론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감사합니다.'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가 코로나 바이러 전파시킬수있을까? (0) 2022.04.17 밤에 먹어도 살안찌는 음식? (0) 2022.04.16 코로나 오미크론 후유증으로 무엇이 있을까? (0) 2022.04.15 봄에 먹으면 우리 몸에 면역력이 좋아지는 음식 (0) 2022.04.15 봄 꽃 나들이 꽃가루 알레르기 알고 떠나요 (0) 2022.04.15